교육 및 강의 자료실

모든 분들께 무료 공개 합니다.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심장의 기억

영혼
작성자
캠프장
작성일
2022-11-20 06:12
조회
551
심장의 기억
========================================

동양에서 마음은 심장을 뜻 합니다. 한국인들은 마음을 말할 때 가슴을 손바닥으로 가리킵니다.
마음을 칭하는 한자어 심(心)과 정(情)에는 모두 심장을 뜻하는 심(心)자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서양인들에게 마음은 뇌에 가깝습니다.
그들이 마음을 말할 때는 머리를 가리킨다.
그들에겐 마음을 뜻하는 마인드(mind)와 가슴을 뜻하는 하트(heart)가 따로 있습니다.

심장은 에너지에 필요한 산소를 몸속 구석 구석까지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살아있게끔 하는 가장 중요한 피의 펌프 역할을 하는 것이죠.
그렇게 몸이 살아있게 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에, 영혼도 존재한다면,
심장안에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합니다.

심장은 박동을 할 때마다 두뇌에 정보를 보내 지각, 감정, 인지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반응을 포함해 많은 자동신경계 신호도 제어합니다. 즉, 인간의 심장은 단순한 혈액순환 펌프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 반응이나 자연적인 긴장 이완을 주관하는 교감 또는 부교감 신경계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심장은 대뇌의 여러 소구역에서 발견되는 최소한 4만개의 '뉴런‘이 있어 심장뇌라고도 불립니다. 머릿속의 대뇌와는 관계없이 사물을 학습하고 기억하며 느끼고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리슈왈츠라는 심리학자의 주장인데 심장도 뇌처럼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게리슈왈츠는 수많은 장기이식 사례들을 수집해서 실제로 장기이식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장기 기증자의 기억뿐만 아니라 습관, 재능, 취향, 식성 등 모든 것이
수혜자에게 전이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한 겁니다.

가령 화가인 기증자로 부터 심장을 이식받으면 수혜자가 갑자기 그림을 잘 그리게 된다든지,
기증자가 자살을 했는데 심장을 이식받은 수혜자도 나중에 비슷한 방식으로 자살을 한다는거죠.

수많은 의사들이 심장이식 수술후, 장기기증자의 기억이나 습관, 재능이 수혜자에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을 했지만,
그러나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었고, 또 심장만 그런 것이 아니라, 간이나, 췌장 등 기타 사람의 장기 이식에서도
이러한 상황 즉, 기증자의 기억이나 습관, 재능이 전혀 관계가 없었던 장기 수혜자에게 나타나게 되자,
이를 세포기억설 즉, 셀룰러 메모리(Cellular Memory)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세포기억설 즉, 셀룰러 메모리(Cellular Memory)는 사고나 질병으로 부득이 하게 장기 이식이나 손, 팔 등 이식을 받았을 경우, 장기 기부자의 재능이나 기억, 습관이 장기를 받은 수혜자에게 나타나는 것인데, 이것이 일부 사례가 있지만, 항상, 반드시 그런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또 반대로, 그 증상이 역전되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2016년 인도에서 당시 16세였던 슈레아 시나다가우더는 등굣길에 버스에 치이는 불의의 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고. 슈레아는 1년 간의 재활 끝에 다시 걸을 수는 있게 됐지만 잃어버린 두 팔을 대신해 의수를 써야 했습니다. 그런데, 자전거 사고로 뇌사상태에 빠진 스무 살 남자 대학생 사친의 두 팔을 기증받게 되어, 아시아 최초로 이성 간 팔 이식 수술이 시작되었습니다.

20명의 외과의사와 16명의 마취과 의사가 참여한 정맥과 동맥, 인대와 근육을 모두 이어 붙이는 13시간의 대수술이 진행되었고, 수술을 성공적이었으나, 기증자 사친의 두 팔은 남자답게 굵고, 피부색이 검고, 털이 수북한 상태였기에, 여성인 슈레아에게는 보기에도, 움직이기에도 버거울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수술 이후 3년의 시간이 지난 뒤 슈레아에게 다시 한 번 기적 같은 일이 찾아왔습니다.
기증자의 세포, 성격, 습관이 기증받은 사람에게 전이되는 셀룰러 메모리가 역전되는 현상이 나타나 슈레아의 두 팔이 점점 하얘지고 손가락도 점점 가늘어지며 여성스럽게 변모하여 슈레아의 진짜 팔 처럼 변모한 것입니다.

현대 과학은 셀룰러 메모리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고 있으며,
오늘날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내장 조직에서도 어느정도 정보처리가 이루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인정하였습니다.
전체 0